3월 19, 2023의 게시물 표시

막12:13-17,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오늘 우리는 고난주간의 흐름 속에서 마가복음 12장 13절부터 17절까지의 말씀을 함께 묵상하고자 합니다.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향해 나아가시는 그 마지막 일주일 동안, 종교 지도자들은 끊임없이 예수님을 시험하고 책잡으려 했습니다. 이 사건은 단순한 정치적 논쟁이 아니라, 하나님의 구속 역사 속에서 예수님의 권위와 사명을 드러내는 중요한 장면입니다. 바리새인들과 헤롯당원들은 예수님께 와서 "가이사에게 세금을 바치는 것이 옳으니이까 옳지 아니하니이까?"(막 12:14)라고 묻습니다. 이 질문은 매우 교묘한 함정이었습니다. 예수님께서 세금을 내야 한다고 말씀하시면, 유대 민족의 반감을 사게 되고, 반대로 내지 말라고 하시면 로마 정부에 반역자로 고발될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그들의 속셈을 아시고, 데나리온 한 닢을 가져오게 하신 후 "이 형상과 이 글이 누구의 것이냐?"(막 12:16)라고 물으십니다. 그들이 "가이사의 것이니이다"(막 12:16)라고 대답하자, 예수님께서는 유명한 말씀을 하십니다.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막 12:17). 이 말씀은 단순한 정치적 회피가 아니라, 예수님의 십자가 사역과 깊이 연결된 선언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이 땅의 권세와 하나님의 주권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밝히시면서, 하나님의 구원 계획 속에서 우리가 어디에 속해야 하는지를 가르치십니다. 오늘 이 말씀을 통해 고난주간의 의미를 더욱 깊이 깨닫고, 우리의 신앙을 새롭게 정립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예수님을 시험하는 자들 (막 12:13-14) 고난주간이 진행되는 동안 예수님께 대한 유대 지도자들의 반감은 극에 달했습니다. 그들은 예수님을 잡아 죽이기 위한 명분을 찾기 위해 계속해서 예수님께 질문을 던졌습니다. 바리새인들은 유대 율법을 철저히 지키는 자들이었고, 헤롯...

태초에 하나님

 성경은 태초에 하나님이 창조하셨다는 선언으로 시작한다. 어떤 타협이나 설명을 하지 않고 선언한다. 이것이 성경이다. 성경은 참 불편하다. 처음부터 이상과 싸우고, 타협하지 않는다. 거절하든지 믿든지 둘 중의 하나다. 난 최근 들어 성경이 진짜 무엇인지를 많이 고민한다. 아니 고민하지 않는다. 그냥 믿든지 거절하든지 선택을 해야한다. 성경이 좀더 친절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참으로 힘든 시간을 많이 보냈다. 꿈속에서라도 하나님을 뵙고 싶었다. 예수님이 꿈속에서 나타났으면 제발 한 번 만이라도 나타났으면 하는 바램이 적지 않았다. 하지만 단 한 번도 나타나지 않았다. 창세기는 도대체 누가 기록한 것일까? 무슨 마음으로 기록한 것일까? 역사적 고증을 봐도 최소 3000년이 넘은 오래 전에 누가 도대체 기록한 것일까? 참으로 기이할 뿐이다. 오늘, 예전에 접었던 블로그를 다시 시작한다.  다시 말이다.